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대한민국 산19

무등산: 국립공원, 등산코스, 서식 동식물, 가는길 무등산은 1972년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에 국립공원 제21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무등산의 가장 큰 특징은 주상절리인데 주상절리는 고온의 용암이 분출 후 지표에 냉각되는 과정에서 수축하여 다각형의 돌기둥이 갈라지며 형성된 돌기둥을 뜻합니다. 제주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지형인데 무등산에서도 관찰이 가능해서 멋있는 모습을 보기 위해 해마다 많은 관광객이 찾는 국립공원입니다. 무등산에는 수달, 구렁이, 삵, 으름남초 등 멸종위기야생생물 26종을 포함하여 총 4,066종의 생물종이 서식하고 있으며 보물 2점 등 지정문화재 28점이 보유되어 있습니다. 1. 무등산 등산코스 1) 새인봉 - 입석대 코스 무등산의 전체적인 윤곽과 광주시가지의 풍경을 한 눈에 조망하여 즐기는 중거리 대표 코스로 능선길을 .. 2024. 4. 3.
덕유산: 국립공원, 등산코스, 서식 동식물, 가는길 덕유산은 1975년, 국내에서 10번째로 국립공원에 지정되었습니다. 태백산맥에서 갈라진 소백산맥이 서남쪽으로 뻗으면서 소백산, 속리산 등을 솟아오르게 한 후, 다시 지리산으로 가는 도중 그 중심부에 빚어 놓은 명산입니다. 덕유산은 전라북도 무주와 장수, 경상남도 거창과 함양군에 걸쳐 솟아 있으며, 해발 1,614m의 향적봉을 정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20개의 폭포 등 기암절벽과 여울들이 굽이굽이 이어지는 구천동 계곡은 여름에 피서객들이 많이 찾는 명소로 덕유산의 아름다움을 대표합니다. 1. 덕유산 등산코스 1) 남덕유산 코스 겨울의 금강산을 일컫는 개골산으로 불릴 만큼 겨울의 정취가 황홀하고 아름다운 덕유산 국립공원의 대표 탐방코스로 영각탐방지원센터에서 남덕유산 정상까지 이어지는 편도 3.6km에 2시.. 2024. 4. 2.
내장산: 국립공원, 등산코스, 서식 동식물, 가는길 내장산은 1971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전라북도와 전라남도에 걸쳐 있는 국내 단풍 여행의 성지입니다. 내장산은 크게 내장산, 백암산, 입암산으로 이루어져있고, 섬진강을 따라서 능선이 이어져 있습니다. 내장산은 처음에는 영은사의 이름을 따서 영은산이라고 불리기도 했지만 산 안에 숨겨진 것이 무궁무진하다고하여 내장산이라고 불리게 되었습니다. 내장산은 백악기 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유문암질과 안산암질 암석으로 구성되며, 지질 특성을 관찰 할 수 있는 지질면소는 용굴, 벽련암, 약사암, 운문암 등이 있습니다. 가을에 단풍을 구경하는 사람들로 정말 발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관람객들이 많이 찾는 국내 최대의 단풍 명소로 유명합니다. 1. 내장산 등산 코스 1) 자연관찰로 코스 국립공원 중 최초로 조성된 자연관찰로.. 2024. 4. 2.
가야산: 국립공원, 등산코스, 서식 동식물, 가는길 가야산국립공원은 경상남도와 경상북도가 서로 잇대어 있는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1966년 6월 24일 사적 및 명승지 제5호로 지정되었으며, 1972년 10월 13일 국립공원 제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가야산은 조선팔경의 하나로 이름나 있는 곳이기도 하며, 우리나라 화엄종의 근본 도량으로 팔만대장경을 봉안한 법보종찰 해인사가 있기도 합니다. 특히 해인사 앞자락을 굽이쳐도는 홍류동 계곡은 우리나라 팔경 가운데 으뜸이라 할 정도로 경관이 멋있습니다. 1. 가야산 등산코스 1) 가야산 소리길 굽이마다 계절마다 다른 매력을 뽐내는 홍류동 계곡과 가야산 소나무림의 청량함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길이며, 길이 험하지 않고 저지대여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탐방할 수 있는 코스입니다. 테마파크에서 영산교까지 약 6km가.. 2024. 4. 2.
반응형